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풀
- 컴퓨터구조
- 폰노이만구조
- kernel
- 인터럽트
- 부트캠프
- 멀티프로세스
- 스레드
- 하버드구조
- 폴링
- 야곰아카데미
- 커널
- 코딩
- 계층형 구조 커널
- 멀티스레드
- Components
- IODevice
- 버퍼
- 폰노이만
- Swift
- 마이크로 커널
- 앱개발
- 단일형 구조 커널
- bus
- API
- closure
- sdk
- 운영체제
- 프로세스
- 캐시
- Today
- Total
목록iOS/Swift (4)
생각, 고민, 문제해결의 기록
공부한 내용이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연산자의 종류 Swift에서는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산술연산자와 &&, || 같은 논리 연산자, 그리고 C에서 지원하지 않는 a..
컬렉션 타입? 데이터를 묶어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대표적으로 Array, Dictionary, Set, Tuple 등이 있다. Array (배열)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나열한 후 순서대로 저장하는 형태의 컬렉션 타입. 중복 값을 허용하고 각 요소마다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잘못된 인덱스로 접근하려고하면 Exception Error가 발생한다. ar names: [String] = ["Toby", "smith", "mark", "adam"] // 배열 선언 print(names[2]) // 인덱스로 확인 "mark" // print(names[4]) // 인덱스 범위 밖이라 오류 발생 names.append("elsa") // 배열 끝에 값 저장 names.append(conte..
해당 내용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기에 수시로 업데이트됩니다. 피드백과 태클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클로저의 정의 블럭함수, 익명함수등으로도 불리우고 다른 언어에선 람다(lambda)와 같다. 큰 의미로 보면 함수 자체가 클로저이고 그 중 이름이 있는 클로저를 함수, 이름이 없는 클로저를 클로저라고 부른다. 핵심개념 클로저는 함수의 다른 형태(이름없는 함수) 함수를 변수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 1급객체로써 상수나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 클로저의 기본 표현식 { (parameter) -> Return Type in // Closure Head 실행 구문 // Closure Body } in이라는 키워드로 클로저의 헤드와 바디를 구분짓는다. 익명함수이기 때문에 func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클로저..
해당 내용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기에 수시로 업데이트됩니다. 피드백과 태클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구조체 vs 클래스 새로운 데이터 구조를 정의할 때 구조체냐 클래스냐로 고민이 될 때가 있을것이다. 오늘은 구조체와 클래스의 차이및 특징과 어느 상황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자😎 공통점 값을 저장할 프로퍼티를 선언할 수 있다. 함수 기능을 하는 메서드를 선언할 수 있다. 내부 값에 .(점)을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생성자를 사용해 초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extension을 사용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Protocol을 채택하여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조체와 클래스의 차이점 구조체(Struct) 값 타입이다. (값이 복사되서 전달됨) 열거형도 값 타입이다. 구조체 ..